"한중 조선업 재편 위기감 느낀다" 日, 범정부 대응기구 출범

-'해사산업 장래상 검토회' 설치…미래 해사산업 방향성 검토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정부가 해운·조선산업 활성화를 위해 신기술을 활용한 범정부 대응기구를 출범했다. 한국과 중국 조선업 재편 움직임이 보이자 위기감을 느껴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은 '해사산업 장래상 검토회(海事産業将来像検討会)'를 설치하고, 기술 혁신에 대응한 미래 해사산업의 방향성 검토에 돌입했다. 

 

해사산업 장래상 검토회의 첫 미팅은 지난달 11일 개최됐다. 조선업, 조선업, 선박용품 업체, 정보통신 분야 전문가 등이 검토 위원으로 참가해 일본 조선업의 생존전략에 대해 논의했다. 

 

주로 중국과 한국의 조선업이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해사 클러스터가 세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지역공헌을 포함한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토론이 이뤄졌다. 

 

특히 이날 전문가들은 일본 해사산업에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 새로운 기술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당시 국토교통성 해사국장이었던 미즈시마 사토시는 이날 회의에서 "세계 조선·선박용품 산업에 지각변동이 발생하고 있다"며 "한·중 조선업은 생산규모를 확대하고 있어 개벌 업체의 경영 판단만으로 대응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좌장을 맡은 다카기 겐도쿄대 대학원 교수 역시 "조선·선박용품·해운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AI나 빅데이터 등 새로운 기술 도입에 대해 확실히 검토해 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가 범정부 대응기구까지 설치해 돌파구 마련에 나선 이유는 하나다. 한국과 중국 조선소의 재편 움직임이 엿보이자 위기감을 느껴서다. 

 

한국 조선소는 지난 3월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발표하며 '공룡 조선소' 탄생을 예고했고, 이에 맞서 중국 정부는 중국 1·2위 조선소인 중국선박공업(CSSC)과 중국선박중공업(CSIC)이 통합 계획을 발표했다. 

 

이들의 인수·합병 후 점유율을 살펴보면 지난해 수주량 기준으로 한국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의 합계 점유율은 21%이고, CSSC·CSIC는 17%를 차지해 그야말로 세계 조선업에 초대형 그룹이 탄생하게 된다. 

 

그런데다 일본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충돌 위험성이 있는 상황을 선박이 자동으로 회피할 수 있는 기술 등을 구현하는 2단계 자동운항 기술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번에 설치한 해사산업 장래상 검토회가 해사 클러스터 구축·성장에 큰 역할을 담당하길 바라고 있다. 

 

현재 일본은 해사 클러스터가 과거와 달리 많은 변화가 발생했다고 판단, 해결책 제시에 고심하고 있다. 해운 시황 악화와 공적 지원을 받고 있는 한·중 조선소에 의한 저가 수주를 배경으로 일본 자국 조선소 발주 비중이 크게 감소한 게 이유다.

 

실제 일본 해운선사가 자국(일본) 조선소에 발주한 비중은 지난 1995년 95%에서 2016년 87%까지 줄었다.

 

수주 실적도 저조하다. 올 상반기 누적 실적은 중국이 432만CGT로 점유율 42%로 1위를 차지했고, 한국이 317만CGT, 31%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이탈리아가 111만CGT(11%)로 뒤를 쫒았고, 일본은 110만CGT(11%)로 4위에 올랐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일본 조선 관계자들이 한중 조선소 재편 움직임에 위기감을 드러내고 있다"며 "해사산업 장래상 검토회 등을 통해 민관 일체가 돼 조선·선박용품 산업에 대한 지속적 구조개혁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사산업 장래상 검토회는 오는 8월과 12월에 2·3차 미팅을 개최하고, 2020년 1분기 4차 미팅에서는 조선·선박용품·해운산업 경쟁력을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도출할 계획이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