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나고야 주부국제공항이 오는 9월 저비용항공사(LCC) 전용 터미널인 제2터미널 개장을 앞두고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한일 양국간 갈등으로 인해 일본 제품 불매운동과 일본 여행 보이콧이 장기화되면서 터미널을 개장해도 이용률이 떨어질 것이란 우려에서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본 주부국제공항은 2터미널 공식 개장 50일을 앞두고 터미널 이용 항공사와 공항 마스코트 등과 함께 개장 카운트다운 전광판 제막식을 가졌다. 이 전광판은 2터미널 복합상업시설인 '플라이트 오브 드림(FLIGHT OF DREAMS)'의 연결 통로에 전시된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누즈카 치카라 주부국제공항 사장은 "50일 동안 건물 내부 마감이나 (공용 개시) 훈련을 진행, 만전의 체제를 갖춘 후 개장하려 한다"라며 "2터미널을 통해 주부지역을 비롯한 국내외 11개 도시를 운영하는 LCC들의 항공 운항이 한층 더 자유로워지길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이누즈카 사장은 "한일 관계 악화에 즉각적인 영향은 없지만, 상황은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 항공업계는 한일관계 악화로 일본 노선 여객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정기편 항공 운항을 잇달아 중단하고 있다.
아직 주부공항과 한국을 잇는 항공편 철수 및 운휴 노선은 없지만, 한일 갈등이 장기화되면 운휴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주부국제공항의 야심하게 LCC 허브로 마련한 2터미널 운영은 어려워질 전망이다.
주부국제공항 2터미널은 일본 제3의 허브공항이자 나고야 권역을 담당하고 있다. 관광객 수요 급증에 대비해 지난해 4월 착공됐다. 4만5000㎡ 면적에 지어진 2터미널의 연간 여객 수는 국제선 300만명, 국내선 150만명 등 총 450만명에 달할 전망이다.
지난 1일 기준으로 주부공항 2터미널을 이용하려는 항공사는 △제트스타재팬 △에어아시아재팬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등 총 5개사다.
특히 국적 LCC인 3개 항공사들은 2터미널 이전 후 공항 이용료 절약과 여객 수요 증대에 따른 수익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주부공항 2터미널은 LCC 전용터미널이다 보니 이용료가 제1터미널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국적 LCC들이 한일관게 악화 전 꾸준히 일본 노선 신규 취항 및 증편 운항해왔다:며 "한일관계가 회복되면 주부공항 LCC터미널 이용을 통해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2019 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니밴 '스프린터'가 작은 방으로 변신했다. 미국의 밴개조 전문 업체는 프리덤 밴즈는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니밴인 스프린터를 개조한 캠핑카를 제작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북미 전역을 여행하며 밴라이프를 즐기는 한 여성을 위해서 설계·제작된 차량을 공개하기도 했다. 차량의 이름은 '피츠 로이'로 의뢰자인 여성이 좋아하는 파타고니아 산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 해당 차량은 안과 밖에 다양한 개조를 통해 1인이 충분히 생활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침대는 물론 샤워실, 싱크대, 물탱크, 자전거 트레이, 선반은 물론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335와트급 LG 태양 전지판 2개가 장착돼있다. 이 외에도 프리덤 밴즈는 벤츠 스프린터 개조를 통해 '플레야 데 솔', '실버 불렛', 다스 밴더' 등 다양한 차량을 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피츠 로이'는 스프린트 차량 가격을 제외하고도 9만5천달러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덴마크에 조립식 완구 제조기업 레고가 테슬라의 픽업트럭을 저격(?)했다. 27일(현지시간) 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공개된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을 풍자한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직사각형의 레고 블럭에 네개의 바퀴가 달려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에는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헤드램프와 같이 빛이 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레고 오스트레일리아 측은 해당 게시물을 통해 "트럭의 진화가 여기 있다"며 "부서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고 밝혀 네티즌들로부터 재미있다는 반응을 얻고 있다. 이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호손의 테슬라 디자인센터에서 열린 '사이버 트럭' 공개 행사 당시 헤프닝을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공개 행사에서 머스크는 정말 튼튼한 차량을 만들었다며 망치로 차체를 쳐보게 하는 등의 이벤트를 진행했다. 그러던 중 유리의 튼튼함을 보여주기 위해 쇠공을 던졌는데 유리가 깨져버리는 상황이 발생했던 것이다. 머스크는 3일 후 "대형 망치로 차문을 때리면서 유리에 금이 간거 같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레고의 패러디를 본 사람들은 "레고가 튼튼한 건 잘 알고 있다", "실수로 밟아도 레고는 망가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