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인 이스타항공이 일본 알뜰항공권 예약업체와 손을 잡고 항공권 판매에 나서 논란이 예상된다.
탑승 고객 정보 공유 및 항공권 할인 판매를 목적으로 제휴를 맺은 것인데 한일 관계 악화로 일본여행 보이콧이 확산되는 가운데 일본업체와 제휴를 맺어 잡음이 일고 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일본 항공 예약업체인 스카이티켓과 A.P.I 제휴를 맺었다.
A.P.I는 항공편에 탑승하는 고객정보로 스카이티켓과 이스타항공은 API 정보를 연계해 실시간으로 항공권 요금과 좌석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하물 등의 옵션 제공이 가능해졌다.
특히 이번 제휴로 이스타항공은 알뜰 항공권 인터넷 판매업체인 어드벤처(Adventure Inc)를 통해 예약 자동화는 물론 항공권 판매로 예약율 상승과 함께 고객 만족도를 높여 영업 수익 개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이스타항공은 일본 여행객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제휴를 맺은 것인데 이를 두고 곱지 않은 시선이 쏟아진다. 국내 항공업계가 일본 경제보복 조치 후 여행 거부 움직임이 여객 수요 감소로 항공운항까지 중단하는 마당에 항공권 판매 도모를 위해 일본업체와 손을 잡았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로 촉발된 '일본 여행 보이콧'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일본 여행객 감소로 항공사는 적자노선 정리 차원에서 운항 항공편 중단 및 감편 조치까지 취했다.
이스타항공은 8개 일본 노선에 대해 운항 중단 및 감편에 나서기로 했다. 다음 달부터 지난해 단독 취항한 인천~이바라키 노선을 비롯해 오는 청주~삿포로 노선, 청주~간사이 노선 운항을 중단키로 한 것.
이외에 인천과 삿포로, 가고시마, 나하를 잇는 항로의 운행 편수를 줄이기로 했다. 모두 일본을 방문하려던 한국 여행자의 예약 취소 등 탑승률 저조로 운항 축소를 결정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일본 노선 항공권 판매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예약사이트 운영 업체와 제휴를 맺은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 여행 거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어 당분간 일본 업체와의 제휴 효과를 누리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한편 일본 스카이티켓은 다국어 대응이 가능한 일본 국내외 항공권 예약 사이트로, 항공권 외 호텔, 렌터카 예약 사업도 함께하고 있다.
Copyright © 2019 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니밴 '스프린터'가 작은 방으로 변신했다. 미국의 밴개조 전문 업체는 프리덤 밴즈는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니밴인 스프린터를 개조한 캠핑카를 제작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북미 전역을 여행하며 밴라이프를 즐기는 한 여성을 위해서 설계·제작된 차량을 공개하기도 했다. 차량의 이름은 '피츠 로이'로 의뢰자인 여성이 좋아하는 파타고니아 산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 해당 차량은 안과 밖에 다양한 개조를 통해 1인이 충분히 생활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침대는 물론 샤워실, 싱크대, 물탱크, 자전거 트레이, 선반은 물론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335와트급 LG 태양 전지판 2개가 장착돼있다. 이 외에도 프리덤 밴즈는 벤츠 스프린터 개조를 통해 '플레야 데 솔', '실버 불렛', 다스 밴더' 등 다양한 차량을 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피츠 로이'는 스프린트 차량 가격을 제외하고도 9만5천달러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덴마크에 조립식 완구 제조기업 레고가 테슬라의 픽업트럭을 저격(?)했다. 27일(현지시간) 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공개된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을 풍자한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직사각형의 레고 블럭에 네개의 바퀴가 달려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에는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헤드램프와 같이 빛이 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레고 오스트레일리아 측은 해당 게시물을 통해 "트럭의 진화가 여기 있다"며 "부서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고 밝혀 네티즌들로부터 재미있다는 반응을 얻고 있다. 이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호손의 테슬라 디자인센터에서 열린 '사이버 트럭' 공개 행사 당시 헤프닝을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공개 행사에서 머스크는 정말 튼튼한 차량을 만들었다며 망치로 차체를 쳐보게 하는 등의 이벤트를 진행했다. 그러던 중 유리의 튼튼함을 보여주기 위해 쇠공을 던졌는데 유리가 깨져버리는 상황이 발생했던 것이다. 머스크는 3일 후 "대형 망치로 차문을 때리면서 유리에 금이 간거 같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레고의 패러디를 본 사람들은 "레고가 튼튼한 건 잘 알고 있다", "실수로 밟아도 레고는 망가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