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무역전쟁에 '어부지리'…현대로템, 수주 기대감 ↑

-미 의회, 중국산 지하철 구입 금지 법안 마련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 의회가 메트로에 대한 연방기금을 10년간 승인하는 조건으로 중국의 철도차량 입찰을 제한해 파장이 예상된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에서 어부지리로 현대로템이 미국 내 차세대 철도차량 입찰에서 수주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흘러나온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최근 미 의회 상원의원 제안에 따라 메트로에 10년 이상 연방정부의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승인하되, 앞으로 중국으로부터 차세대 철도차량 구입을 금지하는 법안 마련을 준비 중이다. 

민주당 소속 상원의원 마크 워너와 팀 케인, 크리스 밴홀런, 벤 카딘 등은 최근 중국 기업 입찰 제한을 조건으로 1억5000만 달러(약 1700억원) 자본 지출을 승인했다. 해당 자금은 향후 10년 간 메트로 예산의 중요한 부분으로 적용될 전망이다.

마크 워너 상원의원은 "메트로가 CRRC와 차세대 철도차량 사업을 계약하지 않는 조건으로 연방기금 지원 연장에 합의했다"면서 "아직 법안의 최종안까지 조정 과정은 남았지만, 국가 및 정부 기관 협력 하에 중국 기업과의 거래를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당국이 중국 기업의 철도사업 참여를 제한하는 건 사이버 스파이 활동에 악용될 가능성을 우려해서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객차 내 감시 카메라 네트워크에 백도어를 설치, 백악관과 국방부 인사를 감시할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차량 교체 사업 도청 장치나 해적 와이파이를 숨겨 놓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미 행정부는 지난해부터 중국의 사이버 안보 침입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같은 이유에서 미 정부는 중국 화웨이 장비에 정보 유출과 도청을 가능케 하는 '백도어'가 숨겨져 있을 수 있고, 정보가 중국 정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장비 도입을 금하고 있다.

현재 미국의 주요 도시는 CRRC로부터 지하철을 구입했더나, 구입 계획을 앞두고 있다. 미국에 지하철 생산업체가 없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중국이 가격 경쟁력에 앞서 수주를 싹쓸이한 것이다. 미국이 중국의 철도 사업 입찰 제한 법안령을 세울 경우 중국은 대규모 발주처를 잃게 된다. 

지난해 3월 미국 로스엔젤레스(LA)시는 지하철 출퇴근 장려를 위해 CRRC로부터 64량의 구매 계약을 맺었고, 보스톤시는 CRRC의 차량 공급으로 지하철 보유 차량을 늘려 시간당 배치된 지하철을 13대에서 20대로 늘릴 계획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CRRC는 시카고시에 800대의 지하철을 공급할 예정이다. 모두 CRRC가 저가 공세를 내세워 따낸 수주 건이다.

그러나 미국 하원에서 이어 상원 의원까지 연방 예산으로 중국산 열차 구입을 반대하고 나서면서 중국산 지하철 구입이 까다로워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 당국의 CRRC를 향한 경계감이 고조되자 중국 CRRC는 사이버 보안 침입 우려를 전면 반박하고 나섰다.

데이브 스몰렌스키 CRRC 시카고 대변인은 "외국 철도 차량 제조업체들이 승용차에 악성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는 주장은 우스꽝스럽다"면서 "중국이 제조한 차량이 수송 기관에 배달되면, 철도 차량은 대리점에 의해 운영되고 제조사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도 조작되거나 통제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CRRC는 교체 부품을 제공하지만 "작동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CRRC가 미국 지하철 사업을 독점하지 않고 있다는 증거도 내세웠다. 스몰렌스키에 따르면 애틀란타가 최근 계약을 위해 CRRC 스위스 회사인 스테들러와 6억6600만 달러(약 7560억원) 규모의 운송 차량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위스 업체와의 계약은 경쟁 시장의 분명한 결과"라면서 "한 회사가 모든 여객 철도 차량을 계약한다는 논쟁은 정확하지 않다"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미·중 무역갈등에 한국의 현대로템이 어부지리로 미국 차세대 지하철 수주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현대로템은 10억 달러(약 1조1400억원) 상당의 차세대 철도 차량 국제 입찰에 참여했다. 현대로템 외 프랑스 알스톰, 중국 국영 열차 제조업체인 중국중차(CRRC)등이 함께 참여했다. 입찰 기한은 오는 5월 31일까지이다.

업계 관계자는 "안보 위협을 우려하는 것도 있지만, 미·중 무역 갈등에서 비롯된 정치적 이유로 미국이 중국 기업을 견제하고 있다"면서 "어부지지로 한국 기업이 수주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라고 밝혔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