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악화로 한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던 일본 오키나와현이 관광객 감소로 지역경제에 타격을 입자 오키나와 관광재단에서 직접 나서 관광 재개 및 교류 활성화를 읍소하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재단법인 오키나와관광컨벤션뷰로가 직접 한국을 찾아 오키나와 관광 현황과 수용 태세를 설명할 계획이다. 오키나와관광컨벤션뷰로는 오키나와의 관광 마케팅을 위한 서포터 역할을 하고 있다.
시모지 요시로 오키나와관광컨벤션뷰로 회장은 지난 17일(현지 시간) 오키나와 퍼시픽호텔에서 열린 초청 강연에서 "이번 주 중에 한국 관광 관계자와 만나 (관광 교류 관련) 의견을 교환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에서 관광 온 사람들이 오키나와에 좋은 생각을 하며 관광할 수 있도록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오키나와 현지 관광 관계자가 한국을 찾는 이유는 하나다. 일본 수출 규제로 일본 여행객이 줄면서 항공사들이 일본 노선 운항 중단 및 감편 조치에 나서는 등 현지 관광업 자체가 큰 타격을 입자 관광 재개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실제로 일본의 한국 수출 규제 강화 발표 이후 한국과 일본 지방공항을 연결하는 노선은 절반 이상으로 줄었고, 그나마 유지되는 노선 예약률은 급감하고 있다.
부산∼오키나와를 주 3회 운항하는 아시아나항공은 이달 23일부터 운항을 중단하기로 했고, 일본 노선 매출 비중이 30%에 달했던 저비용항공사(LCC)도 오키나와 등 일본 노선을 조정 중이다.
제주항공과 진에어는 인천~오키나와 노선을 감편하고, 이스타항공은 청주~오사카 노선을 운휴한다. 에어서울은 일본 삿포로(치토세), 오키나와, 후쿠오카 노선도 감편과 운휴를 검토 중이다.
현재 한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 오키나와 관광객은 90% 이상 줄었다. 오키나와 나하시 관광청에 따르면 한국의 단체관광 수주액이 이번 달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0% 감소, 9월은 90% 감소했다.
나하시의 호텔인 노보텔오키나와나하도 10월 한국인 관광객 예약 건수가 전년과 비교해 90% 감소했으며, 관광객 급감으로 오키나와의 한국계 여행사는 사무실을 폐쇄하거나 직원 수를 줄이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다마키 데니 오키나와현 지사는 지난 9일 기자회견에서 "최악으로 치달은 한일 관계로 (한국인) 예약 취소가 늘고 신규 예약이 침체하는 등 오키나와 관광에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항공사들도 운항을 재개길 바란다"는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일본 오키나와, 오사카 등 주요 대도시뿐만 아니라 소도시를 찾는 한국인 관광객 발길이 끊기면서 일본 노선 추가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시모지 요시로 회장은 이날 강연에서 한국 관광 교류 재개 촉구와 함께 오키나와 관광 목적세 도입 계획도 전했다. 오키나와 관광 활성화를 위해 내년부터 관광 목적세를 도입하겠다는 의도이다.
그는 "오키나와의 관광 수입은 증가하고 있지만 관광에 종사하는 사람의 임금이 증가하지 않고 있다"며 "(오키나와) 관광업계 종사자를 위한 새로운 근로제도 등을 마련해 현지인의 이해관계를 촉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2019 매일뉴스. All rights reserved.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니밴 '스프린터'가 작은 방으로 변신했다. 미국의 밴개조 전문 업체는 프리덤 밴즈는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니밴인 스프린터를 개조한 캠핑카를 제작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북미 전역을 여행하며 밴라이프를 즐기는 한 여성을 위해서 설계·제작된 차량을 공개하기도 했다. 차량의 이름은 '피츠 로이'로 의뢰자인 여성이 좋아하는 파타고니아 산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 해당 차량은 안과 밖에 다양한 개조를 통해 1인이 충분히 생활할 수 있는 시설을 갖췄다. 침대는 물론 샤워실, 싱크대, 물탱크, 자전거 트레이, 선반은 물론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335와트급 LG 태양 전지판 2개가 장착돼있다. 이 외에도 프리덤 밴즈는 벤츠 스프린터 개조를 통해 '플레야 데 솔', '실버 불렛', 다스 밴더' 등 다양한 차량을 제작했다. 업계에 따르면 '피츠 로이'는 스프린트 차량 가격을 제외하고도 9만5천달러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덴마크에 조립식 완구 제조기업 레고가 테슬라의 픽업트럭을 저격(?)했다. 27일(현지시간) 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공개된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을 풍자한 사진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직사각형의 레고 블럭에 네개의 바퀴가 달려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두리에는 테슬라 '사이버트럭'의 헤드램프와 같이 빛이 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레고 오스트레일리아 측은 해당 게시물을 통해 "트럭의 진화가 여기 있다"며 "부서지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고 밝혀 네티즌들로부터 재미있다는 반응을 얻고 있다. 이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호손의 테슬라 디자인센터에서 열린 '사이버 트럭' 공개 행사 당시 헤프닝을 비유한 것으로 보인다. 공개 행사에서 머스크는 정말 튼튼한 차량을 만들었다며 망치로 차체를 쳐보게 하는 등의 이벤트를 진행했다. 그러던 중 유리의 튼튼함을 보여주기 위해 쇠공을 던졌는데 유리가 깨져버리는 상황이 발생했던 것이다. 머스크는 3일 후 "대형 망치로 차문을 때리면서 유리에 금이 간거 같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레고의 패러디를 본 사람들은 "레고가 튼튼한 건 잘 알고 있다", "실수로 밟아도 레고는 망가지지